구석기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전시품 주먹도끼 와 빗살무늬토기

 국립대구박물관에는 주먹도끼와 빗살무늬토기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출처 대구박물관 대표 전시품 주먹도끼와 빗살무늬토끼

주먹도끼  

주먹에 쥐고 사용하는 도끼 형태이며 구석기 시대의 많은 석기들 중 하나 입니다.  자갈돌 이나 납작한 모난돌, 드물게는 대형 격지를 밑감으로 하여 양 면에서 격지를 떼어만든 큰석기라고 합니다.

주먹도끼류 Large cutting tools 라는 범주안에 양면이 가공된 주먹도끼 / 한 면만 가동된 주먹찌르개 / 가로날도끼 / 주먹깔 등 자르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계 학계에서는 대개 주먹도끼를 전기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먹도끼가 전기 구석기시대뿐만 아니라, 중기 구석기시대에도 꾸준히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먹도끼가 발견된다는 점을 이유로 해당 유적이 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고 단정짓는 일은 삼가야 한다. 한편 주먹도끼가 양면이 가공된 석기라는 점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양면에서 격지를 떼서 만든 모든 석기를 주먹도끼라는 범주 속에 넣는 것도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유럽과 아프리카에서도 지역에 따라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유적인 데도 불구하고, 양면이 가공된 큰 긁개 또는 삼각형의 작은 주먹도끼가 출토되는 일이 가끔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먹찌르개처럼 한 면만 가공된 석기도 주먹도끼 범주 안에 포함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비슷한 형태의 석기라 하더라도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맥락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주먹도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주먹도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럽과 아프리카는 구석시대의 표본유물이만/ 동아시아에서는 그렇지 못합니다. 
→ 유렵과 아프리카는 석기 전면을 떼어 주먹도끼를 사용 / 동아시아는 뽀족한 끝부분고 양 옆의 가장자리에만 날이있다. 그외면은 그대로 놔둔상태입니다.
→ 유럽과 아프리카는 부드러운 나무, 뿔, 뼈 연질 망치를 가지고 제작 / 동아시아는 동망치를 가지고 큰 떼기만 해서 날을 세우는 경우가 압도적이다. 

빗살무늬토기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입며, 주로 손으로 그냥 빚거나 테쌓기, 감아올리기 등으로 만들었습니다. 굽는데 온도는대개 700도 이하의 한데가마(노천요) 또는 산화 분위기에서 구웠다고 합니다. 대구의 경우에는 상동지석묘군 유적지에서 교란토에서 태선문 빗살무늬토기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서변동 취락유적의 신석기시대 주거지에서 별모양돌도끼, 빗살무늬토기가 발견되었고, 유천동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아가리가 넓고 높이가 낮고 바닥도 둥근 형태이며, 가까운 반쪽 계란 형태입니다. 

한반도의 빗살무늬 토기와 유사한 형태의 토기는 핀란드, 스웨덴 남부, 북부 독일, 서북 러시아의 카렐리아 지방에서 오카 강·볼가 강 상류지방에 걸친 북유럽 일대, 우랄 산맥을 넘어서 오브 강·예니세이 강 유역 일대, 바이칼호지역, 몽고지방, 연해주 일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들 지역의 토기도 빗같은 무늬새기개의 끝으로 눌러서 새기고, 그어서 생긴 선으로 토기 겉면을 장식하고 있고, 토기의 기형면(器形面)에서도 공통되는 점이 많다. 따라서 옛날에는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유럽에서 한반도까지 빗살무늬토기가 전파되었다는 이른바 캄케라믹 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강원도 양양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 이전의 오산리식 토기등을 이용해 자체 발생설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늘어났고 캄케라믹 설은 주류 가설에서 단순히 여려 기원설 중 하나가 되었다.  - 나무위키 빗살무늬토기 -

한반도에서는 135군데 정도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주로 해안가 강가, 도서지방에서 발견되었으며, 여러종류의 양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중국의 동북지방과 맞닿아있는 서부 지역 / 러시아의 연해주와 맞닿아 있는 동부지역 / 대동강이랑 한강 중심으로 중서부 지역 / 강원도 영동을 중심으로 중서부 지역 / 남부지역으로 구분 짓습니다. 

크기에 따라 대형은 저장용, 중형은 취사형, 소형은 식기와 음식준비 과정에서 사용했다고 합니다. 

* 빗살무늬토기의 비밀 김찬곤저서 라는 책이 있습니다. 책에 의하면 크게 다섯가지로 나뉜다고 합니다. 하늘 속 물, 천문, 하늘, 구름, 빗줄 인데, 가장 위 아가리쪽에 선을 가로로 새긴 부분이 하늘 속 물, 그 아래에 삼각형 삼각형 구름이 빙 둘러 있고, 이 구름 속에 새긴 빗금은 구름 속 비라고 합니다. 구름에서 쏟아지는 비를 새기고 땅속으로 스며드는 비를 밑굽까지 새긴다고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서울여행일정 명동숙소 스테이7 와 광화문과 광화문광장 종이나라박물관 남산케이블카

4박 5일 2일차 강릉 천일식당 대도호부관아 경포해수욕장 도깨비촬영지 BTS버스정류장 주문진등대 정동진 자연면옥 외옹치 대포항

청도여행 신화랑풍류마을 청도레일바이크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공원 청도읍성 와인터널 소싸움미디어체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