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한국식동검인 게시물 표시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전시품 민무늬토기, 요령식동검과 한국식동검 , 대롱옥

이미지
  민무늬토기(무문토기 : 무늬가 없는 토기) 출처 국립대구박물관 청동기시대의 특징적인 토기 입니다. 민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에 있던 빗살무늬토기에 비해 대체로 태토가 정선되지 못하고 기벽이 두터우며, 노천에서 낮은 온도로 구워졌기 때문에 흔히 적갈색을 하고 있습니다 .민무늬는 납작바닥을 하고 있고, 그릇에 목이 달린 토기가 많은편입니다. 문양이 없고, 적고, 장석, 석영, 운모 등의 비짐을 섞어 800도이하의 온도에서 소성한 청동기시 시대의 토기 입니다.  지역별로 형태상의 특색이 있습니다. 네이버지식백과에 의하면 압록강 하류 유역의 미송리토기 / 압록강 중상류 유역의 공귀리 토기 / 두만강 유역의 공렬토기/ , 청천강 이남의 평안도 및 황해도 지역의 팽이식토기 / 한강(금강) 유역의 가락식 토기 / 충남 일원의 송곡리식 토기 로 구분되고 있다고해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북부 압록강 하루지역의 미송리형토기 / 압록강 중상류의 공귀리형토기 / 두만강 유역의 덧띠새김무늬토기 , 청천강 유역의 겹아가리토기 / 대동강 유역의 팽이토기 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민무늬토기의 기종으로 깊은바리(바리용) / 얕은바리(식기용) / 독 / 항아리(저장용) / 굽달린바리 / 굽잔 / 뚜껑 등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먼저 바리 는 최대경이 구연에 있으며 동체부에서 꺽임이 없이 곧장 구연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큰쪽을 깊은 바리 기고가 낮은 것을 얕은바리라 합니다. 독 의 경우에는 최대경이 동체부 중위에 있으면서 목이 없다고 합니다. 굽달린바 는 바리에 속이 빈 대각이 부착한 것, 굽잔 은 매우 얕은바리에 원통형이거나 나팔상의 높은 대각이 부착했습니다. 뚜껑 은 낮은 삿갓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제작방법으로 " 민무늬토기는 빗살무늬토기와 마찬가지로 성형(成形)-정면(精面)-소성(燒成)의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토기 형태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고리 모양 점토띠를 쌓는 테쌓기[윤적법(輪積法)], 긴 점토띠를 둥글게 쌓아가는 서리기[권상법(捲上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