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전시품 민무늬토기, 요령식동검과 한국식동검 , 대롱옥

 민무늬토기(무문토기 : 무늬가 없는 토기)

출처 국립대구박물관




청동기시대의 특징적인 토기 입니다. 민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에 있던 빗살무늬토기에 비해 대체로 태토가 정선되지 못하고 기벽이 두터우며, 노천에서 낮은 온도로 구워졌기 때문에 흔히 적갈색을 하고 있습니다 .민무늬는 납작바닥을 하고 있고, 그릇에 목이 달린 토기가 많은편입니다. 문양이 없고, 적고, 장석, 석영, 운모 등의 비짐을 섞어 800도이하의 온도에서 소성한 청동기시 시대의 토기입니다. 

지역별로 형태상의 특색이 있습니다. 네이버지식백과에 의하면 압록강 하류 유역의 미송리토기/ 압록강 중상류 유역의 공귀리 토기/ 두만강 유역의 공렬토기/, 청천강 이남의 평안도 및 황해도 지역의 팽이식토기 / 한강(금강) 유역의 가락식 토기 / 충남 일원의 송곡리식 토기 로 구분되고 있다고해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북부 압록강 하루지역의 미송리형토기 / 압록강 중상류의 공귀리형토기 / 두만강 유역의 덧띠새김무늬토기, 청천강 유역의 겹아가리토기 / 대동강 유역의 팽이토기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민무늬토기의 기종으로 깊은바리(바리용) / 얕은바리(식기용) / 독 / 항아리(저장용) / 굽달린바리 / 굽잔 / 뚜껑 등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먼저 바리는 최대경이 구연에 있으며 동체부에서 꺽임이 없이 곧장 구연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큰쪽을 깊은 바리 기고가 낮은 것을 얕은바리라 합니다. 의 경우에는 최대경이 동체부 중위에 있으면서 목이 없다고 합니다. 굽달린바는 바리에 속이 빈 대각이 부착한 것, 굽잔은 매우 얕은바리에 원통형이거나 나팔상의 높은 대각이 부착했습니다. 뚜껑은 낮은 삿갓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제작방법으로 "민무늬토기는 빗살무늬토기와 마찬가지로 성형(成形)-정면(精面)-소성(燒成)의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토기 형태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고리 모양 점토띠를 쌓는 테쌓기[윤적법(輪積法)], 긴 점토띠를 둥글게 쌓아가는 서리기[권상법(捲上法)], 손으로 빗는 수날법(手捏法)이 있다. 민무늬토기는 형태를 만든 후에 표면을 정리하는데, 가죽이나 손가락에 물을 묻혀 표면을 다듬는 물손질이 이루어지거나 목판 등으로 표면을 긁고 손가락으로 누르기도 하며, 겉이 맨질한 도구로 토기 표면을 문질러 광택을 내기도 한다. 정면한 토기를 건조시킨 후에는 불에 굽는 소성 과정이 이루어지는데, 신석기시대와 마찬가지로 야외에서 얕은 구덩이를 파고 나뭇가지를 넣어 굽는데, 점차 짚이나 나뭇가지를 위에 지붕처럼 덮어 굽는 덮개형 야외소성이 주로 이루어졌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민무늬토기-


초기의 민무늬토기는 덧띠무늬토기로 깊은 바리형토기 아가리에 새김한 덧띠무늬를 붙인 것이며, 중기의 민무늬토기는 일찍이 가락식을 비롯한 전기와 점토대토기의, 후기로 구분되며 부여 송국리 유적이 발굴되면서 전기와 후기 사이의 중기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후기의 민무늬토기는 청동기시대 후기는 덧띠토기로 대표된다. 토기의 제작방식과 구성에 있어서 민무늬토기를 계승하고 있습니다. 


요령식동검 / 한국식 동검

출처 국립대구박물관


요령식 동검은 기원전 8세기 무렵부터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중국 요령지방에서 자주 보이기 시작했고, 고조선식 동거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요령식 동검은 아랫쪽이 넓고 둥근 형태이며, 가운데 좌우에 뾰족한 돌기가 있는 것이 큰 특징 입니다. 현재 경주박물관에 가시면 보실 수 있답니다. 

무기로 사용할 정도로 날카롭지는 않아서, 장신구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청동기시대에서는 지배계층의 권위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한국식동검은 철기시대 초기에 한반도와 그 주변에 주로 사용했으며, 조립식 구조의 청동단검으로 검과 자루가 한 몸인 중국식 동검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독자적인 문화권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립식 구조로 검신과 목제 or 청동제의 검병 및 검파두식이 서로 조립되는 구조랍니다. 

검신 하단부가 각이지고, 등대 칼허리를 지닌 모양을 하고 있고, 넓은 범위로는 불완전한 초기 단계의 동검들과 쇠퇴 단계의 동검까지 포함됩니다. 우리나에서는 서기 2세기경 까지 있었다고 합니다. 

서기 4세기경에는 요령식동검 또는 비파형동검으로 불려지는 곡인형 동검이 사용되었고, 그 이후 시기에는 한국식 동검 또는 세형동검을 불려지는 직인형 동검을 사용했습니다. 두양식을 포괄적으로 단경식 동검이라는 말도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서북한 지역이 두 양식의 점이 지대라면, 동북한 지역과 그 이남 지역은 한국식 (세형)동검의 주된 분포 지역이다. 특히 한국식은 서기전 200년경 전후 일본 구주 지역으로 전해져서 중세형(中細形)-중광형(中廣形)의 변형 동검으로 바뀌기도 한다. 한국식동검의 크기는 보통 길이 20~30㎝ 내외, 너비 3~4㎝이다. 이른 시기에는 서남한 지역에서 주로 확인된다. 검신 하부가 약간 곡선적이면서 마디가 등대 중간에 자리하지지만, 점차 검신 하부가 직선적인 역제형을 이루면서 마디가 등대 중하위에 형성되며, 칼허리가 분명하게 구분되는 전형으로 발전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롱옥 


출처 국립대구박물관


대롱옥은 원통형 대릉과 같은 형태이며, 관옥 혹은 조옥이라고 합니다. 구슬 중에서는 가장 먼저 발생한 형식으로 주로 목걸이에 쓰였습니다. (구멍을 뚫은 짧은 대롱모양의 구술)
길이 방향의 중앙에 구멍을 둟어 연결해서 사용하는 치레걸이 라고 합니다. 재질은 대부분 벽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응희암과 같은 돌로 만든것도 있고, 흙으로 만든것도 있다고 합니다. 대릉옥으로 이용되는 것은 녹색이며, 크기에 따라 대형과 소형으로 구분되고, 대형은 5cm 이상 , 소형은 3cm 입니다. 대릉옥은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부여 송국리 돌널무덤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뿐만아니라 궁산리 유적에서는 벽옥제 대롱옥이 출토되었고, 춘천 교동유적에서는 백마노로 만든 길이 11cm가 발견되었고, 여수 평여동 고인돌, 창원 덕천리 2호 고인들엥서 150여점이나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서울여행일정 명동숙소 스테이7 와 광화문과 광화문광장 종이나라박물관 남산케이블카

4박 5일 2일차 강릉 천일식당 대도호부관아 경포해수욕장 도깨비촬영지 BTS버스정류장 주문진등대 정동진 자연면옥 외옹치 대포항

청도여행 신화랑풍류마을 청도레일바이크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공원 청도읍성 와인터널 소싸움미디어체험관